요즘 산행을 자주하다보면 예전같지않고 쉬 체력이 고갈된다.
육신이 허탈해지고 영혼도 메말라간다. 이렇게 되면 산행이 고행이된다.
특히 다이어트를 목적으로하는 사람들은 먹지않고 하루에 2천에서 3천 칼로리를 소모하기 때문에
양기가 극도로 빠져나가 체력 관절에 이상이 생기게된다.
이것을 보충한다고 고기에 술로 달래면 더욱 건강은 악화된다.
특히 중년부터 노년기로 접어든 사람들은 주의해야 한다.
운동과 소식, 절주, 금연, 성욕절제 이외에도 보약을 봄 가을로 먹어 주어야 한다.
보약은 자연이 주는 선물이며 약초이기 때문이다.
이럴때 즐겨 먹을수 있는 약재는 보중익기탕 이다.
8가지 약재를 구입, 생강을 넣고 건재탕에서 내려먹으면 된다.
하루 한번만 먹어도 좋고 보통은 2번 먹는다.
주 약재 성분]
황기 1.33 인삼 1.33 백출 1.33 당귀 1.0 진피 0.67 승마 0.33 시호 0.679
대추 0.67 건감초 0.5 건강 0.17
중국의 명의 처방이라고 하는데 질병이 없으면 다른것을 가미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보중익기탕은 의왕탕 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보약중의 왕자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출전
비위론[脾胃論]
이럴때 보중익기탕 을.....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식사후 졸리고 많이 나른해한다.
-손발도 움직일 힘이 없다고 한다.
-늘 기운이 없고 피곤해 한다.
-입맛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된다고 한다.
-신경을 쓰면 치질이 재발한다.
-설사는 아닌데 변이 무르고 시원하지 않다.
-배에 힘을 주거나 몹시 웃으면 소변을 지린다.
-감기는 아닌데 몸에서 열이나고 기운이 없다.
-식은 땀이 나기도 하고 숨이 찰 때도 있다.
약사가 알아야 할 사항
-기운이 없고 피로하며 입맛이 없다.
-손발을 움직이기 싫다.
-말소리가 작고 눈에 힘이 없다.
+++이상은 비위기허증 의 증상이다.
-조직, 평활근 밎 괄약근 긴장저하로 내장근육이 처져
탈항,위하수,자궁탈,치질 등이 발생한다.
+++이상은 기허하항증 의 증상이다.
-반복되는 미열, 식은 땀이 있다.
-갈증은 있으나 따뜻한 물을 좋아한다.
-숨이 차고 피로하다.
+++이상은 기허발열증 의 증상이다.
임상응용
피로; 만성적인 심신의 피로,권태,무력감
체력저하; 병후,수술전후, 더위를 많이 탈때,임신중, 산후
Atony체질; 조직과 평활근, 괄약근의 긴장저하로 인한 이완성 변비
안검하수,중증근무력증,요실금,탈항,내장하수,위하수,자궁탈
말초혈관순환장애; 기립성 현운, 두통, 졸음, 나른함, 식은땀, 방사선 코발트 조사의 부작용 방지 등에 응용한다.
비위기허
보중익기탕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혈정(氣血精)의 재료가 되는 영양이 비위에서 정상적으로 행성되도록
하여 만성피로, 무력감, 체력저하, 내장하수, 탈항 등 기허증상을 해소하는 대표적인 처방이다.
기는 형체가 없어도 기능은 있는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스스로 움직이기도, 정체하기도 또는
다른 것의 흐름을 주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의 작용이 정상을 벗어나게 되면 여러 병증을 일으키는데
첫째는 기의 생성이 부족하거나 소모가 많아 나타나는 기허이고 둘째는 기체,기함,기폐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기의 기능수행이 불가해지는 기능실조 이다.
이중 기허는 어느 장부의 기허냐에 따라 증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비위기허 일 경우에는
-심한 피로; 소화흡수 능력이 저하되어 음식물의 정기가 폐로 상승하는 것이 부진하게 되고 이로인해
폐에서 정기와 공기를 결합하여 전신의 활동 에너지인 기로의 전환과정에 문제가 생긴다.
이렇듯 에너지 형성이 부족해지면 말하기도 힘들 정도로 피로해지고 손발에 힘이 없이 나른해 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신열자한; 체표에 땀구멍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비위에서의 적당한 영양이 공급되어야 하나 이의 부족으로 인하여
땀구멍이 열려 저절로 땀이 나게되고(자한) 이로 인해 양을 붙잡아줄 음이 보족해지면서 양이 뜨게 되어
두통,발열과 함께 땀이 나는 증상이 나타난다.
-기허하함; 폐로 올라가야할 청양(淸陽)이 상승하지 못하면 설사,묽은 변이 나타나고 횡격막에 의해 물리적 지지대가 있는
심장과 폐와는 달리 물리적 지지대가 없는 위, 장, 자궁 등이 아래로 처져 위하수,자궁탈,탈항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보중익기탕은 황기가 주약으로 위장의 비정상적인 습을 제거하고 비위기능을 보해주는 사군자탕(인삼,감초,백출,복령)과
비위에서 영양을 만드는 것을 돕기 위해 당귀와 황기를, 소량의 시호와 승마를 가하여 비위에서 만든 정기를 폐로
상승시키는 방제로 비위기능을 살려 기를 만드는 대표적인 처방이라 하겠다.
복약지도
효능 효과
-중초인 비위기능을 보하여 기부족으로 인한 수족권태를 해소한다.
-양기를 끌어올려 위, 장, 자궁 등이 밑으로 처진것을 끌어 올린다.
-달고 따뜻한 약으로 비위를 보하면 기형의 원천이 되는 영양이 증가하고 증가된 영양이 우리 몸을 자양시켜
부족으로 인한 허열을 제거한다.
이런 차이가 있다...
기허로 인한 발열, 음허화동에 의한 허열 또는 감기 등으로 인한 외감발열과 구분이 필요하다.
-기허발열; 중초기능 저하로 영양흡수 및 운화부족 그것으로 인해 폐에서 활동에너지인 기 생성부족... 그결과
심한피로, 나른함, 미열이 올랐다내렸다 하고 손바닥 열 이 심함
-음허화동; 음액 부족으로 인한 과잉의 양을 활동에너지로 이용...그결과 과잉 흥분상태.
-외감발열; 풍한 등의 침입에 의한 저항으로의 발열... 열이 지속되고 손 등에 열이심함
'* 자료방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젊게 유지하는 4가지 습관 '눈길' (0) | 2012.01.05 |
---|---|
스트레스 이기는 방법 (0) | 2012.01.05 |
황기차 (0) | 2011.10.12 |
우리 몸 살리는 음식 치유 (0) | 2011.08.25 |
침실에 '이 식물' 놔두면 밤에 산소·음이온 방출 (0) | 2011.05.19 |